마케팅

[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No.4 - 2023년 건강기능식품 업종 분석 리포트

뷰뜰 2023. 6. 26. 13:24

[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No.4 - 건강기능식품 업종 분석 리포트

 

1.건강기능식품 시장 분석

#.2022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약 6조원

코로나19 장기 유행과 전 연령에 걸친 건강 중시 트렌드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초고령 사회 진입, 맞춤형 건기식 관련 규제 완화 등 시장의 변화에 따른 성장 추세는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업종 디지털 광고비, 전년 대비 16% 증가

2022년 건강기능식품 업종 광고비는 전년 대비 226억 원 증가했습니다. 21년 대비 배너 광고비는 증가, 동영상 광고비는 감소한 추이를 보이며 배너 광고 비중이 상승하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 디지털 광고비 증가폭 감소

21년도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가했던 건강기능식품 기업들의 디지털 광고비 상승폭은 다소 주춤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률이 21년 대비 주춤함에 따라 디지털 광고비 증가율 또한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로 확장하는 건기식 업계

최근 건강기능식품 업계는 차별화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건강설문, 라이프로그 등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개인의 건강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 연령대로 확산된 단백질 보충제 인기

근력 향상을 목적으로 섭취되었던 단백질 보충제는 최근 전 연령층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단백질 보충제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단백질보충제 시장은 더욱더 성장하고 있습니다.

 

#.식품과 영양제를 함께 섭취,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시장 확대 

융복합 건강기능식품은 식음료와 건강기능식품을 한번에 섭취할 수 있도록 결합한 일체형 제품입니다. 물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2.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분석

#.주요 관심 정보는 제품의 효능·효과

건기식 소비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갖는 정보는 효능과 효과이며, 50대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큰 편입니다. 제품의 정보는 주로 포털 사이트에서 얻고 있으며, 20대는 동영상 채널, 4050대는 TV를 통해서도 정보를 많이 얻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주로 온라인에서 구매

조사 대상자의 47%가 소셜커머스·오픈마켓에서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오픈마켓, 포털 사이트, 온라인 종합 쇼핑몰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한 건기식 구매 비율이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됩니다.

 

#.건기식은 보통 2~3개월 주기로 구매, 연평균 구매 비용은 43만원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2개월에서 3개월 주기로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6개월 주기로 구매하는 비율도 높습니다. 연 평균 구매 비용은 43만 원이며, 100만 원 이상 구매하는 소비자도 10% 이상에 달합니다.

 

#.기능과 효능이 가장 주요한 구매 고려 요인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가장 주요한 고려 요인은 기능과 효능으로, 특히 50대는 이를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40대는 기능과 효능 뿐 아니라 안정성과 부작용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건강 기능 식품 중 비타민·미네랄을 가장 많이 복용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복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은 비타민, 미네랄입니다. 50대는 혈관과 면역, 뼈와 관절 건강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며, 40대는 간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큰 편입니다.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 의향은 51%

조사 대상자의 51%가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건강상태에 맞는 맞춤 영양제 추천 서비스를 제일 희망하고, 20대의 경우 칼로리 계산, 운동기록 등 다이어트 관련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습니다.

 

#.운동을 통한 근력 향상을 위해 단백질 보충제 섭취

2040세대는 운동 후 단백질 보충을 위해, 50대는 근력 향상을 위해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보충제 제품 선택 시 단백질 함량을 제일 많이 고려하며, 맛도 중요한 선택 기준의 하나입니다.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섭취 경험 66%

조사대상자의 66%는 융복합 건강기능식품을 구입·섭취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구입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유사한 비율을 보였습니다.

 

3.건강기능식품 마케팅 매체 분석

#.최근 구매한 건기식 제품의 정보는 포털사이트에서 획득

최근 구매한 건기식 제품의 정보는 포털 사이트에서 얻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20대의 경우에는 동영상이나 SNS를 통해, 50대의 경우 TV를 통해 정보를 얻는 비중이 높았습니다.

 

#.네이버와 구글 중심의 캠페인 집행

2022년 건강기능식품 캠페인들은 작년에 이어 네이버와 구글을 집중적으로 활용했습니다. 구글에서는 유튜브, SNS에서는 인스타그램의 활용 비중이 높았습니다.

 

#.전체 캠페인의 90% 이상은 디스플레이와 동영상 광고 집행

건기식 업종은 디지털 광고 진행 시 53%는 디스플레이 광고, 38% 이상은 동영상 광고를 운영하였습니다. 트래픽 확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브랜딩을 위한 동영상 광고를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건강기능식품 업종이 선호하는 미디어는 네이트, SIGNALPLAY

건기식 업종은 주요 미디어 외에도 네이트와 SIGNALPLAY에 많은 예산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워드 매체인 버즈빌, 캐시워크, OK캐쉬백 미디어도 높은 비중으로 집행하였습니다.

 

4.건강기능식품 마케팅 트렌드

#.웃음과 감동을 동시에, 건강기능식품 광고

가족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유쾌하고 재미있게 풀어낸 광고와 더불어 엄마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감동적인 광고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건기식 사업자들은 소비자들에게 재미를 주고 공감을 이끌어내며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습니다.

 

 

정관장 시트콤 ‘가족끼리 탈룰라를 해버렸다..’

 

GC녹십자 웰빙 ‘엄마의 무릎이 닳는 만큼 나는 자랐습니다’

 

#.MZ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건기식 사업자

건강기능식품의 주요 고객으로 부상한 MZ세대, 올해도 MZ세대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예정입니다. 이에 건기식 사업자들은 MZ세대와 상호작용하며 친근감을 형성할 수 있는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프레딧 ‘하이파이브’

 

둘코락스 ‘똥잘쌌네 댄스챌린지’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전환

건기식 사업자들은 새롭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콜라보 마케팅을 활용합니다.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 공략이 가능하고,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대웅제약 우루사 X 4XR 의류

 

출처: 메조미디어-건강기능식품 업종 분석 리포트

 

📂PPT파일 다운로드(1.6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