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 No.1 - 2023년 이커머스 업종 분석 리포트
1.이커머스 시장 분석
#.2022년 이커머스 시장규모는 약 210조원
2022년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210조 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이 성숙단계에 접어들고, 엔데믹과 함께 오프라인 소비가 늘어나며 성장세가 둔화된 모습입니다.
#.이커머스 업종 디지털 광고비, 전년 대비 0.4% 증가
2022년 이커머스 업종 광고비는 전년보다 18억 원 증가했습니다. 동영상 광고보다 배너 광고에, PC 광고보다 모바일 광고에 더 많은 광고비를 집중합니다.
#.전문 쇼핑몰과 종합 쇼핑몰 디지털의 광고비, 전년 수준으로 유지
이커머스 시장의 낮은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전문 쇼핑몰과 종합 쇼핑몰 모두 22년 집행 광고비를 21년 수준으로 유지했습니다.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해외 직구·역직구 시장으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해외직구를 통해 물건을 싸게 구입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하며, 관련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내수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이커머스 기업들은 해외직구 시장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점 찍고 외연을 확장하는 모습입니다.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ESG 전문관’ 오픈
이제 소비자들에게 기업의 ESG 활동은 제품과 브랜드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소비자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기존 온라인몰에 ESG 전문관을 확장 오픈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 오픈으로 소비자와의 접점 확대
팬데믹 시기 급격하게 성장한 이커머스 기업들이 오프라인으로 진출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MZ세대들이 자주 가는 핫플레이스에 매장을 오픈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고, 브랜드와 제품의 체험을 유도합니다.
2.이커머스소비자분석
#.주요 관심 정보는 제품·가격 정보
이커머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갖는 정보는 제품·가격 정보입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구매·배송 후기를 관심 있게 살펴보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주 이용 온라인 쇼핑채널은 네이버와 쿠팡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쇼핑 채널은 네이버와 쿠팡입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오픈마켓을 주로 이용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버티컬 채널을 더 선호합니다.
#.쇼핑 시 핵심 구매 요인은 가격과 상품 품질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입할 때 가격, 상품 품질, 후기를 가장 주의 깊게 봅니다. 소득이 비교적 낮은 20대는 가격 혜택을 중시하며, 소득이 비교적 높은 40대는 상품 품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은 식품,일상 소비재
전 연령대가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은 식품과 일상 소비재입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식품과 의약품 구매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의류 제품의 구매 비율이 높았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해외직구 플랫폼, 쿠팡 직구
해외직구를 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쿠팡 직구와 아마존입니다. 해당 플랫폼을 선택한 이유로는 저렴한 가격, 다양한 제품, 주문과 결제의 편의성을 꼽았습니다.
#.해외직구 구입 비용 연평균 60만원,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은 의약품·건기식
해외직구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비용은 연평균 60만원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평균 구매액도 높아졌습니다.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은 의약품·건기식, 의류, 잡화, 일상 소비재 순입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의 ESG 활동, 친환경 제품 판매
응답자의 61%가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 구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ESG 활동은 친환경 제품 판매, 노동 환경 개선, 오염물질 배출저감 순입니다.
#.제품의 품질이나 사이즈 등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 방문
이커머스 기업의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제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10명 중 4명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후 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오픈마켓, 네이버 쇼핑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오픈마켓은 네이버쇼핑입니다. 주 이용 오픈마켓 선택 이유로는 주문·결제 편의성과 이벤트·멤버십 혜택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패션 플랫폼, 무신사
무신사는 20대와 3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패션 플랫폼입니다. 40대는 타 연령 대비 CJ온스타일의 이용 비율이 높습니다. 트렌디하고 다양한 제품을 구비한 패션 플랫폼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명품 플랫폼, 발란
국내 주요 명품 커머스는 발란, 머스트잇, 트렌비이며 소비자의 이용률은 비슷한 모습입니다. 치열한 점유율 경쟁 속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 구비가 필수 요건입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뷰티 플랫폼, 올리브영
올리브영은 압도적인 이용률로 국민 뷰티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선택의 이유로는 다양한 제품 보유, 이벤트·멤버십 혜택, 후기 확인 용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품 플랫폼, 이마트몰
20대는 마켓컬리, 30대와 40대는 이마트몰을 가장 많이 이용합니다. 식품은 유통기한이 짧고 신선도 또한 중요하다 보니, 배송 서비스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가구·인테리어 플랫폼, 오늘의집
조사 대상자 2명 중 1명은 오늘의집을 이용 중입니다. 이용자마다 스타일·평형·예산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플랫폼이 인기입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당근마켓의 이용률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많은 이용자 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유입과 전환을 활발하게 하여, 다양한 제품이 거래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3.이커머스 마케팅 매체 분석
#.온라인 쇼핑 정보는 주로 쇼핑몰에서 획득
온라인 쇼핑 정보는 구매처인 온라인 쇼핑몰에서 얻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2030세대는 SNS, 40대는 포털사이트를 통해서도 많은 정보를 얻습니다.
#.구글, 카카오, 네이버 중심의 캠페인 집행
2022년 이커머스 업종 캠페인은 구글과 카카오 그리고 네이버를 집중적으로 활용했습니다. 구글의 경우 UAC, GDN 상품의 집행 비중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캠페인의 절반 이상이 디스플레이 광고
이커머스 업종의 디스플레이 광고 집행률은 52%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앱 다운로드, 홈페이지 유입, 구매 전환 등의 캠페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광고를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커머스 업종이 선호하는 서브 미디어는 PAYCO, MANPLUS
이커머스 업종은 주요 미디어 외에도 PAYCO, OK캐시백, MANPLUS에 많은 예산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해낼 수 있는 리워드 매체, 버즈빌, 캐시슬라이드의 활용도도 높은 편입니다.
4.이커머스 마케팅 트렌드
#.라이브커머스에 등장한 새로운 쇼호스트, 버추얼 휴먼
광고 시장을 휩쓴 버추얼 휴먼, 이제 자신만의 페르소나를 살려 라이브커머스의 쇼호스트로도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더욱 생동감 있어진 가상 인물은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재미를 제공하고, 화제성을 불러일으키는데 효과적입니다.
버추얼 휴먼 이솔X나스 NEW 파워매트 립스틱 최초론칭
이솔의 방송 다시보기
view.shoppinglive.naver.com
#.해외직구·역직구 소비자를 공략하는 캠페인 전개
이커머스에서 해외직구·역직구 시장이 새로운 기회로 떠오르며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합니다. 서비스를 알리고 대세감을 형성하기 위해, 국내외로 인기 있는 모델을 활용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패션 커머스의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오픈 활발
직접 체험이 어려운 온라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커머스 기업들이 오프라인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철학을 담은 공간과 다양한 체험거리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도와 충성도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출처: 메조미디어-2023년 이커머스 업종 분석 리포트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나가는 크리에이터, 왜 자체 플랫폼 만드나 (3) | 2023.06.26 |
---|---|
2023 여름 인플루언서 마케팅, 공동구매 트렌드 (0) | 2023.06.26 |
[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 No.2 - 2023년 화장품 업종 분석 리포트 (0) | 2023.06.26 |
[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 No.3 - 2023년 식음료 업종 분석 리포트 (0) | 2023.06.26 |
[메조미디어] 업종 분석 리포트No.4 - 2023년 건강기능식품 업종 분석 리포트 (0) | 2023.06.26 |